2025년 8월, 한국의 대표적인 두 거대 플랫폼 쿠팡과 네이버가 2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는데요, 이들이 선택한 성장 전략과 경쟁 방식은 완전히 다르면서도 각자의 길에서 인상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번 비교 분석은 단순히 누가 더 잘했는지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2025년 현재 유통·물류 시장에서 미래 경쟁의 축이 어디로 이동하고 있는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시금석이 되길 바랍니다.
편집자 주: 성공한 두 기업의 대조적인 전략에서 우리는 ‘물리적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하드파워’와 ‘디지털 생태계 중심의 소프트파워’가 어떻게 각기 다른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경쟁력이 되는지 엿볼 수 있습니다.
1. 실적 개요: 다른 성장 엔진, 비슷한 결과
■ 쿠팡: 운영 레버리지의 완성
핵심 지표: (Coupang Q2 2025 Earnings Release, 2025.08.05)
- 매출 $8.5 billion (11조 4,750억 원) (+16% YoY reported, +19% FX-neutral)
- 순이익 $32 million (430억 원) attributable to stockholders
- 상품커머스 조정 EBITDA $663 million (8,951억 원) (마진 9.0%)
- 전사 조정 EBITDA $428 million (5,778억 원) (마진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