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서울 강남의 한 다이소 매장 앞에 긴 줄이 늘어서 있었다. 목적지는 화장품 코너. 이들이 찾는 것은 디올이나 샤넬이 아닌, 3천 원짜리 '듀프(dupe)' 제품들이었다. 명품과 유사한 디자인과 기능을 가진 저가 대체품을 뜻하는 듀프가 2025년 상반기 유통업계의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떠오르고 있다.

2025년 상반기 다이소 뷰티 카테고리 매출은 전년 대비 42% 성장했다. 편의점 화장품 매출도 같은 기간 35% 늘었다. 단순한 유행이 아닌 구조적 변화의 신호다. 듀프는 소비자들의 '테스트 소비(Test Consumption)' 욕구와 만나 기존 유통 패러다임을 해체하고 있다. 본격적인 구매 전 저가의 유사 제품으로 먼저 체험해보려는 이러한 소비 패턴은 전통적인 브랜드 위계질서와 유통 구조에 균열을 가하고 있다.

듀프(dupe)는 'Duplicate'의 줄임말로 고가 명품과 유사한 디자인·기능을 가진 저렴한 대체품을 말한다.

듀프가 움직이는 4가지 메커니즘

듀프 유통이 급속도로 확산되는 배경에는 네 가지 핵심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다.

첫째, 브랜드 핑계 테스트다. 소비자들은 다이소의 명품 향수 듀프를 통해 부담 없이 새로운 향조를 시도한다. 실패해도 3천 원이면 되니 심리적 장벽이 현저히 낮다. 이는 기존 브랜드들에게 양날의 검이다. 듀프를 통해 자사 제품 관심도가 높아질 수 있지만, 브랜드 프리미엄 약화 위험도 존재한다.

둘째, FOMO 기반 바이럴 유도다. 다이소의 5천 원대 쿠션이나 립스틱이 SNS에서 화제가 되면 순식간에 매진된다. 화제성이 품질을 앞서는 바이럴 리테일의 전형이다. 유튜브에서 "디올 백스테이지 파운데이션과 똑같다"는 리뷰 하나가 올라오면, 해당 제품은 며칠 만에 전국 매장에서 품절된다.

셋째, 마이크로브랜딩의 부상이다. 다이소는 더 이상 단순한 잡화점이 아니다. 자체 기획한 듀프 브랜드를 통해 가격·포장·스토리를 재설계하며 독립적인 브랜드 정체성을 구축한다. 소규모 팀이 빠르게 니치 시장을 공략하는 마이크로브랜딩 전략이 대형 유통업체로 확산되고 있다.

넷째, 유통사 주도의 큐레이션이다. CU의 VT코스메틱 협업 라인, GS25의 편의점 전용 제품들은 유통사가 더 이상 단순한 판매 채널이 아님을 증명한다. 이들은 직접 공급망을 구축하고, 단기성 바잉을 통해 빠른 상품 회전율을 실현한다.

5가지 지각변동과 브랜드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