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을 읽으면 알 수 있어요!

1. 네이버의 글로벌 콘텐츠 확장 전략의 첨병이죠. 네이버웹툰과 라인망가, 왓패드의 본사이자 네이버의 자회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가 나스닥에 상장했습니다. 웹툰엔터는 글로벌 1.7억명의 이용자 숫자를 자랑하고요. 이들에게 2400만명의 콘텐츠 창작자가 만드는 45만개 이상의 웹툰, 5400만개 이상의 웹소설을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데요. 웹툰엔터 상위 100위 콘텐츠 창작자는 평균 100만달러의 연소득을 올릴 정도라고 합니다. 이는 웹툰엔터 입장에서는 분명 ‘비용’인데, 대체 어떻게 이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일까요? 구독, 광고, IP까지 웹툰엔터의 3가지 핵심 수익모델을 알아봤습니다.

2. 첫 번째 수익모델은 ‘구독’입니다. 무려 웹툰엔터 매출의 80%가 여기에서 발생하는데요. 여기서 의아하다고 느낄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왜냐면 기본적으로 한국의 네이버웹툰을 포함한 웹툰엔터 플랫폼상 콘텐츠 대부분은 ‘무료’로 제공되거든요. 어떻게 네이버는 무료 콘텐츠를 바탕으로 막대한 ‘유료 수익’을 만든 것일까요?

3. 두 번째 수익모델은 ‘광고’입니다. 웹툰엔터는 콘텐츠 하단에 ‘이미지 배너’ 형태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광고뿐만 아니라요. 콘텐츠를 보는 사용자 경험을 저하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다양한 광고 모델을 실험하고, 고도화하고 있었는데요. 특히 성장 가능성과 마진율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는 광고, 웹툰엔터는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정리했습니다.

4. 마지막 세 번째 수익모델은 ‘IP 판매’입니다. 이는 웹툰엔터가 추구하는 ‘하나의 스토리, 여러 사용처’ 전략의 일환인데요. 바로 여기서 김준구 웹툰엔터테인먼트 대표가 그들 스스로를 웹툰 및 웹소설 업계의 ‘유튜브’이자 ‘넷플릭스’라 부르는 이유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웹툰엔터의 3가지 비즈니스 모델은 모두 ‘크로스보더 플랫폼’으로 확장할 가능성을 내포하는데요. 향후 청사진까지 자세한 내용을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