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지피티 기술의 이해와 물류 사업화 방식
Opening Remarks. (50분) Chat GPT 등 생성형 AI(GenAI) 응용과 사업화 방식, 그리고 물류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알아봅니다. ●발표: 김태호 뤼튼테크놀로지스 이사 ●발표: 송상화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 ●진행: 김철민 비욘드엑스 대표 💡동 영상물의 저작권은 비욘드엑스에 있으며, 무단 복제 및 불법 유통, 개인이 아닌 단체 관람시 사용자에게 법적 책임이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물류트렌드2024 티칭노트 발간 및 배포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과 미래물류기술포럼(NeLT)에서는 대학 및 대학원, 교육기관에서 물류 관련 수업을 진행하는 교원들에게 물류트렌드 2024 내용을 기반으로 한 티칭노트를 무료로 제작하여 배포합니다. 이번 티칭 노트는 물류 트렌드 2024를 교육 교재로 활용하길 원하는 교육기관의 요청으로 인해 제작되었습니다. 이번에 제작된 티칭 노트는 물류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보고 듣는, 그 다음의 엔터테인먼트 라이프스타일
이승엽 HYBE(구.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제휴사업팀 팀장, seungyublee@hybecorp.com 조선해양공학과에서 교육플랫폼 창업으로, 물류서비스 부릉의 PO이자 PM으로, 엔터테인먼트 라이브스타일플랫폼인 하이브까지. ‘Most Advanced, Yet Acceptable’의 스탠스로 산업 간 경계 없는 고민과 그 뒤섞임을 즐깁니다. 오징어 게임이라는 콘텐츠의 후속 현상넷플릭스는 2021년 10월 13일( 현지 시각) 공식 트위터를 통해 전 세계 오징어
AMR과 WCS, 스마트 물류 혁신의 주역
황현철 현대 글로비스 스마트물류 솔루션 사업팀 책임매니저, hchwang@glovis.net 현대글로비스의 물류자동화시스템 컨설턴트(Material Handling Automation Senior Consultant)로, 스마트물류솔루션이 고객에 차별화된 가치로 제공될 수 있도록 세일즈(Sales)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동국대 산업공학사, 고려대 기술경영학석사, 인천대 물류학박사(물류시스템 전공) 학위를 취득했다. 필자가 처음 물류를 접했던 시기는 국내 식품, 생활용품
스마트 수출입 통관 시장의 변화와 시스템 진화
김정민 로그인네트웍 대표, jmkim@loginnw.co.kr 수출입 통관 분야에서 엔지니어로 경력을 쌓아 지금은 ㈜로그인네트웍의 대표로 DHL익스프레스, UPS, TNT(FedEx)와 같은 글로벌 물류회사와 관세사의 페이퍼리스 시스템을 기획하고 구축했다. 현재는 IT의 신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통관 및 물류 플랫폼을 기획하고 구축하여 화주, 포워더, 관세사, 운송사 등의 업무 프로세스를 더욱 스마트하게 개선하기 위해
주유소 기능의 대전환 시대, GS칼텍스의 대응
김동주 GS칼텍스 전략기획실 책임, djkim3375@gscaltex.com GS칼텍스에서 12년째 근무중이며, 이 중 4년을 신사업 개발 분야에서 근무 중이다. 지난 4년동안 다양한 신사업 개발 업무를 수행했으며, 특히 드론/UAM/로봇을 주유소에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고민 중에 있다. 미래 주유소가 어떤 모습일지는 알 수 없으나 가장 먼저 그 변화에 대응하는
통신사와 테크 기업이 미들마일 물류에 진심인 이유
이태호 픽쿨 대표, philip@pickool.net 대한민국과 일본, 글로벌 시장을 연결하는 크로스보더 미디어 Pickool, Inc.의 창업자 겸 CEO. 창업 이전에는 글로벌 테크 및 컨설팅 기업인 오라클과 가트너에서 사업 개발 및 영업 업무를 담당했다. 그 이전에는 KT에서 신사업 전략 기획 및 글로벌 시장 개발, 사업 제휴 등의 업무를 담당했다. 저서로는
지속가능한 해사산업을 위한 협력
최봉준 HD현대글로벌서비스 수석연구원, bjchoi@hd.com HD현대글로벌서비스 디지털기술센터 담당임원. 조선해양 도메인 기술을 바탕으로 데이터와 AI기술을 접목하여 선박의 탄소저감 솔루션 개발을 이끌고 있다. 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MacNet)의 디지털 및 친환경시스템 워킹그룹장으로도 활동하며 디지털 기술의 협력 구도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 최대건 HD현대중공업 책임엔지니어, dgchoi@hd.com HD현대중공업 개발설계부 부서장. 최신의 디지털 기술과 친환경
북극에서 부는 미래선박 시장의 바람
자율운항선박 시장의 현주소와 미래 김엄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북방극지전략연구실장, umjikim@kmi.re.kr 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북방극지전략연구실장으로, 북방지역(러, 북)과 북극지역의 해양 및 수산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러시아 내륙 수운을 연계한 복합물류체계 구축 기반 실태조사’, ‘ASTD 기반 북극항로 이용 선박과 친환경 선박 개발 동향 조사’ 등의 연구를 수행했으며, ‘점-선-면 전략 기반 러시아 북극개발전략
중소유통산업 디지털 전환의 어려움과 해결 방안
홍요섭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디지털유통센터 센터장, yshong@gokea.org 현재 KEA 디지털유통센터 센터장으로, 전자상거래 소프트웨어 및 유통분야 데이터 비즈니스 전문가로 활동 중이다. 코로나19가 국내에 처음 발생한 이후 3년 4개월 만에 엔데믹 시대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 다양한 산업에서 길다면 긴 이시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숨쉬기조차 어렵고 힘들었던 과정을 가까스로 지나왔다고
느린 한걸음, 전통 물류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화
김기형 포스코플로우 철강물류실 국내계약섹션 리더, marum78@gmail.com 공급망 ESG경영(공급사슬의 동반성장)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물류 경영학 박사와 국제물류 석사 학위를 받았다. LG상사, 포스코 및 포스코차이나를 거쳐, 현재 포스코플로우 팀리더로 재직 중이다. 물류산업 Digital Transformation, ESG경영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SCM연구]와 [인공지능과 물류응용]에 대해 강의하고 있다. 실패로
‘빠른 배송’ 이후의 이커머스 시장의 경쟁 변화
쿠팡의 시대 이후, 배송 경쟁 트렌드 “이제는 속도가 아니다” 저자: 김요한 트렌드라이트 발행인, newsletter@trendlite.news 국내 최대 규모의 커머스 버티컬 뉴스레터 「트렌드라이트」의 발행인으로, 「기묘한 이커머스 이야기」의 저자이기도 하다. 매주 뉴스레터를 통해 업계 현직자의 관점을 담은 유통 트렌드 이야기를 전하고 있으며, 커넥터스, 아웃스탠딩 등 다양한 전문 매체에 주기적으로